2025년 5월 29일(목) 미국 주식시장은 강보합 혼조 마감했습니다. 반도체주 강세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하 기대 약화와 무역관세 관련 법원 결정 이슈가 부담으로 작용했습니다.
지수 성과
미국채 10년물 금리 | 4.43% | -0.89% | |
지수 기간별 성과 | 1주간(%) | 1개월간(%) | YTD(%) |
다우존스 | +0.85 | +3.80 | -0.77 |
S&P 500 | +1.32 | +6.16 | +0.52 |
나스닥종합 | +1.32 | +9.91 | -0.70 |
2025년 5월 29일(목) 미국 주식시장은 엔비디아의 긍정적인 실적 발표와 트럼프 행정부의 관세 재시행 결정에 대한 시장의 반응으로 강보합권 소폭 상승 마감했습니다. 특히 헬스케어, 부동산, 유틸리티는 순환매 흐름으로 상승폭이 두드러졌습니다.
이날 미국 국제무역법원(CIT)은 트럼프 대통령의 광범위한 관세 부과가 권한을 초과했다고 판결했으나, 연방 항소법원이 이 판결을 일시 중단시키며 관세가 재시행되었습니다. 이러한 법적 혼선은 시장에 단기적인 불확실성을 제공했습니다. Reuters
한편,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전일 대비 소폭 하락하여 4.43%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경기 둔화 우려와 금리 인하 기대감의 반영으로 해석됩니다.
업종별로는 방어적 업종인 헬스케어, 부동산, 헬스케어 상승과 반도체주가 강세를 보였으며, 엔비디아, AMD, 마이크론 등의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반면, 산업재는 관세 관련 불확실성으로 인해 혼조세를 나타냈습니다.
최근 한 달간 시장은 AI 기술주 중심의 랠리와 매크로 불확실성 사이에서 변동성을 보이고 있으며, 연준의 6월 FOMC 회의와 추가적인 경제 지표 발표를 앞두고 관망세가 이어질 것으로 예상됩니다.
주요 종목·업종(S&P 500 기준)
📈 상승 종목 뉴스 및 코멘트
● Nordson Corp (NDSN), 산업재(Industrials)
Nordson Corp는 5월 29일에 특별한 뉴스 없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5월 28일 발표한 2분기 실적에서 매출 6억 8,300만 달러, 주당순이익(EPS) 1.97달러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산업재 섹터 전반의 강세와 함께, 회사의 견고한 펀더멘털과 안정적인 실적에 대한 투자자들의 신뢰를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 Biogen (BIIB), 헬스케어(Healthcare)
Biogen은 5월 29일에 주요 뉴스 없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이는 헬스케어 업종 전반의 강세와 함께, 회사의 신약 파이프라인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Estée Lauder (EL), 소비재(Consumer Staples)
Estée Lauder는 새로운 최고경영자(CEO) 임명 소식에 따라 5월 29일 주가가 3.6% 상승 마감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새로운 리더십 하에서의 전략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반영한 것으로 보입니다. The Motley Fool 최근 중국과 아시아 여행 소매 시장의 부진으로 실적에 압박을 받고 있습니다. 회사는 2025 회계연도 전망을 철회하고, 분기별 가이던스만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또한, 배당금을 $0.66에서 $0.35로 거의 절반으로 줄였습니다. 이러한 조치는 중국 시장의 불확실성과 리더십 변화에 따른 것으로 보입니다.Investing.com UK
● AES Corp (AES), 유틸리티(Utilities)
AES Corp는 5월 29일에 주요 뉴스 없이 주가가 상승했습니다. 이는 유틸리티 업종 전반의 강세와 함께, 회사의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과 재생에너지 투자 확대에 대한 기대감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NVIDIA (NVDA),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NVIDIA는 1분기 실적 발표에서 데이터 센터 매출이 전년 대비 73% 증가한 $39.1B를 기록하며 시장 기대를 상회했습니다. CEO 젠슨 황은 AI가 미래 산업 성장의 중심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이러한 실적 발표 이후, 주가는 3.2% 상승하여 $139.19를 기록했습니다.Investor's Business Daily
🔻 하락 종목 뉴스 및 코멘트
● HP Inc. (HPQ),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HP는 2025 회계연도 전망을 하향 조정하며, 관세 관련 비용 증가와 하드웨어 수요 감소를 이유로 들었습니다. 이에 따라 주가는 8.3% 하락했습니다.
● Best Buy (BBY), 소비재(Consumer Discretionary)
Best Buy는 관세로 인한 가격 상승과 수요 감소로 인해 연간 전망을 하향 조정했습니다. 이에 따라 주가는 7.3% 하락했습니다.
● Astra Networks (ASTR), 통신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s)
Astra Networks는 5월 29일에 주요 뉴스 없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이는 통신서비스 업종 전반의 약세와 함께, 회사의 성장 전망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보입니다.
● Uber Technologies (UBER), 산업재(Industrials)
Uber는 5월 29일에 주요 뉴스 없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이는 산업재 섹터 내 경쟁 심화와 수익성에 대한 우려가 반영된 것으로 해석됩니다.
● Salesforce (CRM),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Salesforce는 실적 발표에서 예상치를 상회하는 결과를 보였지만, 주가는 3.3% 하락했습니다. 이는 투자자들이 향후 성장 전망에 대해 신중한 태도를 보이고 있음을 시사합니다.
● Live Nation Entertainment (LYV), 커뮤니케이션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s)
Live Nation은 미국 법무부와 40개 주 검찰총장이 제기한 반독점 소송으로 인해 주가가 하락했습니다. 소송은 회사가 라이브 이벤트 시장을 불법적으로 독점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 상승 업종 뉴스 및 코멘트
● 헬스케어(Healthcare)
헬스케어 업종은 경기 방어적 특성과 안정적인 수익성으로 인해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으며 상승했습니다. 특히, 바이오젠과 같은 기업의 실적 개선이 업종 전반의 상승을 견인했습니다.
● 부동산(Real Estate)
부동산 업종은 배당 수익률 매력 증가와 일부 REITs의 실적 개선으로 인해 상승했습니다.
● 유틸리티(Utilities)
유틸리티 업종은 안정적인 배당 수익률과 AI 데이터센터 확장에 따른 전력 수요 증가 기대감으로 인해 상승했습니다.
📉 하락 업종 뉴스 및 코멘트
● 커뮤니케이션서비스(Communication Services)
커뮤니케이션서비스 업종은 Live Nation에 대한 반독점 소송과 같은 규제 리스크로 인해 하락했습니다.
📊 오늘의 시장분석과 투자 포인트
📌 오늘 주식시장은
미국 증시는 강보합 혼조 마감했습니다.
S&P 500과 나스닥은 전강후약, 다우지수는 상대적 안정세 보이며 주요 지수 간 흐름이 조금 달랐습니다.
시장의 가장 큰 화두는 HP와 Best Buy의 실적 부진이었으며, 관세 부담과 소비 둔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일부 소비 관련 주들이 하락 압력을 받았습니다.
반면, NVIDIA의 주가 상승세가 이어졌고, Biogen과 Estée Lauder 등 헬스케어 및 소비재 일부 종목은 강세를 보였습니다.
10년물 미국 국채금리는 소폭 하락하면서 배당 매력 있는 유틸리티·부동산 업종이 강세를 보였고, 헬스케어 업종도 방어주 성격으로 주목받았습니다.
통신서비스 업종은 Live Nation에 대한 반독점 소송 등 규제 리스크에 노출되며 약세를 보였습니다.
전반적으로 시장은 AI 모멘텀과 방어주 중심의 순환매 흐름이 교차되며 섹터별 차별화가 뚜렷했던 하루였습니다.
💡 투자 포인트
업종 순환매 흐름을 활용한 전략이 유효합니다.
헬스케어·부동산·유틸리티처럼 방어적인 성격과 배당 매력이 있는 업종은 금리 안정 시기에 자금 유입 가능성이 높으며, 최근 주도주의 변동성과 함께 재조명되고 있습니다.
3대 지수 모두 4~5월 저점 대비 큰 폭의 반등을 이뤘습니다.
다우(+14%), S&P 500(+20%), 나스닥(+27%) 상승 이후 현재는 기술적 저항권 부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추가 상승에는 동력 확인이 필요한 구간입니다.
현시점은 추세적인 방향성보다는 이슈 민감한 혼조 흐름이 유력합니다.
AI·반도체·실적 발표 등 개별 재료에 따라 섹터 간 등락이 교차하며, ‘횡보 속 차별화 장세’가 전개될 가능성이 큽니다.
AI 중심의 테마 모멘텀은 유효하지만 고점 부담도 병존합니다.
NVIDIA 등 초강세 종목 위주 집중보다는, 밸류에이션 부담이 덜한 2차 수혜주나 관련 인프라 기업에 눈을 돌리는 전략이 바람직합니다.
통신서비스 및 미디어 업종은 규제 리스크에 노출되어 있으며, 관련 종목군은 정책 변화에 따라 급격한 리레이팅 가능성도 존재합니다. 면밀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금리와 고용, 물가 등 거시지표 발표에 따라 민감한 움직임이 예상되므로, 짧은 주기 기준의 시황 분석 및 리밸런싱 전략이 중요해졌습니다.
★ 참고 : 인베스팅닷컴, 야후파이낸스, 핀비즈, 네이버,,, 이미지 출처는 인베스팅닷컴과 핀비즈, 네이버에서 캡처한 것입니다.
※유의사항 : 이 콘텐츠는 투자 판단을 돕기 위한 정보 제공 목적이며, 실제 투자 결정은 각자의 책임하에 이뤄져야 합니다. 더 정확한 판단을 위해 원문 기사나 공식 데이터도 함께 확인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
♥ 매일 미국 증시 요약과 시사점을 전해드립니다. "구독", "공감" 그리고 "공유"는 큰 힘이 됩니다! ♥
'주식 > 미증시 데일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5년 6월 3일(화) 미국 주식시장 요약: 기술·에너지주 주도 속 나스닥도 연중 상승 전환! (0) | 2025.06.04 |
---|---|
2025년 5월 30일(금) 미국 주식시장 요약: 트럼프 대통령 한마디에 출렁이는... (2) | 2025.05.31 |
2025년 5월 28일(수) 미국 주식시장 요약: 숨죽인 증시! 연준에 흔들리고 엔비디아 실적은? (8) | 2025.05.29 |
2025년 5월 27일(화) 미국 주식시장 요약: EU 관세 연기와 소비자신뢰지수 회복에 증시 반등! (11) | 2025.05.28 |
2025년 5월 23일(금) 미국 주식시장 요약: 트럼프 관세 발언에 흔들린 월가, S&P500 7주 만에 최대 낙폭! (4) | 2025.05.24 |